[한국심리학신문=유영서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즉 SNS는 현대인의 삶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각각의 방식으로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동시에 타인과 연결될 수 있는 소통 창구이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일상 속에서 자연스레 SNS를 활용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자연스러운 시대인 만큼, 여러 가지 부작용 또한 대두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SNS 이용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고, 5명 중 1명은 불안감과 초조함까지 느끼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1) SNS 상의 일명 ‘보여주기식’ 문화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궁금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보여주기식’ 문화는 모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까요? 이 부분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가장 먼저 보여주기식 문화는 명품 소비를 조장하는 문제를 초래합니다. 수많은 인플루언서 및 유명인, 연예인들은 인스타그램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명품 가방, 옷, 구두 등을 착용한 채 사진을 게시하며 대중의 관심을 끌곤 합니다. 명품 브랜드의 광고 모델로 활동하는 일명 ‘엠버서더’들은 주기적으로 명품을 착용한 채 광고를 게시하기도 합니다. 명품 엠버서더는 그 세대의 가장 인기 있는 연예인들이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을 본 일반인들은 자연스레 비슷한 소비를 추구하게 됩니다. 인기 많고 빛나는 연예인과 똑같은 제품을 착용하면 자신도 비슷하게 멋지고 예뻐 보일 거라는 심리 때문입니다. 이는 경제적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소년들에게도 예외가 아닙니다. 최근 10~20대 사이에서 명품 소비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고, 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 또한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 미디어에 익숙한 세대인 만큼 명품 브랜드에 노출되는 시기도 점점 빨라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2)